발표 챕터
69p Shape 2: Vertices
79p Math 2: Curves
85p Color 1: Color by Numbers
- vertex를 사용한 보다 다양한 모양의 기하학적 shape 만들기
- 수학 방정식을 사용한 곡선 그리기
- processing에서 지원하는 color mode 및 color 사용 방법
Shape 2: Vertices
-주요 syntax
beginShape(), endShape(), vertex()
curveVertex(), bezierVertex()
- vertex 함수들을 사용하면 기존의 rect(), ellipse()등을 사용한 shape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shape을 만들 수 있음
- vertex()는 반드시 beginShape()으로 시작하여 endShape()으로 닫아주어야함
- beginShape()의 parameter(TRIANGLES, TRIANGLE_STRIP, TRIANGLE_FAN, QUADS, QUAD_STRIP)들을 사용하여
같은 vertex() 값을 같더라도 다양한 shape이 가능함
- processing에서 곡선을 그리는 함수에는 curveVertex()와 bezierVertex()가 있음.
(curveVetex()는 시작과 끝의 control point 좌표값을 조정하여 곡선의 시작과 끝 모양을 바꿀 수 있음.
bezierVertex() 일러스트레이터의 펜툴로 곡선을 그리는 방법과 같은 개념)
- 중요 pages
69p : vertex 개념 설명
72p : beginShape()의 parameter를 바꿔서 다양한 shape 만들기
76p : curveVertex()와 bezierVertex() 차이점을 그림으로 설명
Math 2: Curves
-주요 syntax
sq(), sqrt(), pow(), norm(), lerp(), map()
- 수학적인 방정식을 곡선을 그리는데 이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챕터
(관련 함수들이 어떤 것이 있다는 정도만 알아도 충분함.)
- Normalizing, Mapping 관련 함수들
norm() : 특정 범위에 포함된 값을 0~1사이의 값으로 변환
lerp() : 0~1사이의 값을 특정 범위 사이의 값으로 변환( norm()과 반대의 기능)
map() : 특정 범위에 포함된 값을 또 다른 특정 범위 사이의 값을 변환
- 이 챕터의 함수들을 사용하면 수학적인 곡선을 그릴 수 있으며, 다른 도형을 그리는 함수들과 함께 사용하면 단순한 곡선이
아닌 곡선의 성질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shape을 그릴 수 있음
- 중요 pages
80p : Normalizing, Mapping 관련 함수 소개 및 개념 설명
82p : 수학적인 공식으로 그려진 곡선들의 예시
84p : 도형을 그리는 다른 함수들을 함께 사용한 예
Color 1: Color by Numbers
-주요 syntax
color, color(), colorMode()
- processing은 크게 RGB와 HSB의 color mode를 지원함
- Red, Green, Blue의 조합을 색을 만들어야 하는 RGB mode보단 색상이 0 ~360가지로 나눠져 있는 HSB mode가 대부분의
경우 사용하기 편함.(그러나 사용 상황에 따라 적절한 color mode는 달라질 수 있음)
- colorMode()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하며, RGB와 HSB 각각의 min, max값을 원하는 값으로 재설정 할 수 있음
colorMode(mode)
colorMode(mode, range)
colorMode(mode, range1, range2, range3)
- processing의 Tools 메뉴에 Color Selector를 사용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색상의 값을 알 수 있음
- color 라는 변수 타입이 있어서 지정한 color값을 변수에 저장할 수 있음
- color() 함수의 parameter 갯수에 따라 사용 방법이 다름
color(gray) : parameter가 하나일때는 gray scale
color(gray, alpha) : parameter가 두 개일때는 alpha값이 추가된 gray scale
color(value1, value2, value3) : parameter가 세 개일때는 color mode에 따라 R, G, B 또는 H, S, B 값을 나타냄
color(value1, value2, value3, alpha) : parameter가 네 개일때는 위의 값에 alpha값이 추가된 것
- 중요 pages
86p : color를 사용한 예제들
88p : alpha(투명도)에 대한 설명과 예제들
89p : color변수와 사용예
91p : colorMode설정 방법
69p Shape 2: Vertices
79p Math 2: Curves
85p Color 1: Color by Numbers
- vertex를 사용한 보다 다양한 모양의 기하학적 shape 만들기
- 수학 방정식을 사용한 곡선 그리기
- processing에서 지원하는 color mode 및 color 사용 방법
Shape 2: Vertices
-주요 syntax
beginShape(), endShape(), vertex()
curveVertex(), bezierVertex()
- vertex 함수들을 사용하면 기존의 rect(), ellipse()등을 사용한 shape보다 더 복잡하고 다양한 shape을 만들 수 있음
- vertex()는 반드시 beginShape()으로 시작하여 endShape()으로 닫아주어야함
- beginShape()의 parameter(TRIANGLES, TRIANGLE_STRIP, TRIANGLE_FAN, QUADS, QUAD_STRIP)들을 사용하여
같은 vertex() 값을 같더라도 다양한 shape이 가능함
- processing에서 곡선을 그리는 함수에는 curveVertex()와 bezierVertex()가 있음.
(curveVetex()는 시작과 끝의 control point 좌표값을 조정하여 곡선의 시작과 끝 모양을 바꿀 수 있음.
bezierVertex() 일러스트레이터의 펜툴로 곡선을 그리는 방법과 같은 개념)
- 중요 pages
69p : vertex 개념 설명
72p : beginShape()의 parameter를 바꿔서 다양한 shape 만들기
76p : curveVertex()와 bezierVertex() 차이점을 그림으로 설명
Math 2: Curves
-주요 syntax
sq(), sqrt(), pow(), norm(), lerp(), map()
- 수학적인 방정식을 곡선을 그리는데 이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챕터
(관련 함수들이 어떤 것이 있다는 정도만 알아도 충분함.)
- Normalizing, Mapping 관련 함수들
norm() : 특정 범위에 포함된 값을 0~1사이의 값으로 변환
lerp() : 0~1사이의 값을 특정 범위 사이의 값으로 변환( norm()과 반대의 기능)
map() : 특정 범위에 포함된 값을 또 다른 특정 범위 사이의 값을 변환
- 이 챕터의 함수들을 사용하면 수학적인 곡선을 그릴 수 있으며, 다른 도형을 그리는 함수들과 함께 사용하면 단순한 곡선이
아닌 곡선의 성질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shape을 그릴 수 있음
- 중요 pages
80p : Normalizing, Mapping 관련 함수 소개 및 개념 설명
82p : 수학적인 공식으로 그려진 곡선들의 예시
84p : 도형을 그리는 다른 함수들을 함께 사용한 예
Color 1: Color by Numbers
-주요 syntax
color, color(), colorMode()
- processing은 크게 RGB와 HSB의 color mode를 지원함
- Red, Green, Blue의 조합을 색을 만들어야 하는 RGB mode보단 색상이 0 ~360가지로 나눠져 있는 HSB mode가 대부분의
경우 사용하기 편함.(그러나 사용 상황에 따라 적절한 color mode는 달라질 수 있음)
- colorMode()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하며, RGB와 HSB 각각의 min, max값을 원하는 값으로 재설정 할 수 있음
colorMode(mode)
colorMode(mode, range)
colorMode(mode, range1, range2, range3)
- processing의 Tools 메뉴에 Color Selector를 사용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색상의 값을 알 수 있음
- color 라는 변수 타입이 있어서 지정한 color값을 변수에 저장할 수 있음
- color() 함수의 parameter 갯수에 따라 사용 방법이 다름
color(gray) : parameter가 하나일때는 gray scale
color(gray, alpha) : parameter가 두 개일때는 alpha값이 추가된 gray scale
color(value1, value2, value3) : parameter가 세 개일때는 color mode에 따라 R, G, B 또는 H, S, B 값을 나타냄
color(value1, value2, value3, alpha) : parameter가 네 개일때는 위의 값에 alpha값이 추가된 것
- 중요 pages
86p : color를 사용한 예제들
88p : alpha(투명도)에 대한 설명과 예제들
89p : color변수와 사용예
91p : colorMode설정 방법